전체 글 281

[윤리학] 생명은 경외감의 대상인가, 안락사 문제, 유전자 연구는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가?

Question 1. Why do you think life should be an object of reverence?일단 질문을 보고 문득 들었던 생각은 경외심의 대상을 ‘~해야 한다’ 는 의미의 단어인 should 로 말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것이다. 내 이해가 옳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경외심 이라는 것은 존경심이나 동정심과는 달리 특히 감정에 관련된 것이다. 앞 챕터의 내용에 의하면, 경외심의 대상은 인공물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인공물이라 함은 위대한 그림이나 아름다운 음악과 같은 것이다. reverence 를 경외심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고 한다면, 과연 그러한 예술품들에서 감명을 받는 것 역시 유덕한 것이라고 해야 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런 예술 작품으로부터 감명을 못 받는 것은 상대적으로..

일상 2013.03.09

[윤리학] 가장 중요한 상위의 덕은? 책임감을 갖지 않는다면?

Question 1. Study the lists of virtues given at the beginning of Chapter 5 and identify which one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Give reasons why you think it important and explain what the virtue consists in.이번 챕터에서 우리는 상식적인 덕의 개념과 일치하는 여러 가지 덕의 목록들을 확인했다. 덕의 목록이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던 필자가, 책에 덕의 목록을 제시하다니 무언가 아이러니하기는 하다. 그러나 그것을 통해 앞에서 조금은 뜬 구름 잡는 개념 같았던 덕이 현대사회에 상식적으로, 또 구체적으로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그러나 ..

일상 2013.03.08

[윤리학] 리쾨르의 윤리관,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 확장 가능성

Question 1. Why it is not adequate to account for our responsibilities towards others by extending Aristotle’s conception of friendship to all others, or by expanding the circle of those we care about?‘필요 없이 많은 전제는 설정하지 말아야 한다’ 는 Occam의 면도날이 말하는 바와 같이, 무엇을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은 쓸모 없는 존재자를 상정하면 좋지 않다. 존재자, 혹은 전제의 상정은 그것이 필요한 것일 경우에만 정당화 된다. 다시 말하면, 더욱 적은 것으로 더욱 많은 것을 설명하는 이론이 더 훌륭한 이론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친애..

일상 2013.03.08

[윤리학] 흄의 윤리학적 관점

Question 1. Why does Hume think it is not possible to derive moral principles from reason alone? From what does Hume derive moral principles?나는 첫 번째 에세이의 마지막 문단에서 이성만을 강조하는 의무 윤리적 관점에 반대하며 글을 맺었다. 그 부분은 아래와 같다:“감정적 요소들이 모두 제거된 도덕은 기계 혹은 컴퓨터의 도덕과 무엇이 다를 것이며, 모든 인류가 사라진 곳에 무슨 도덕이 남아있을 것인가. 인간의 도덕을 생각하는데 있어서 인간과 기계의 가장 명확한 구별인 ‘감성’ 을 배제하려 한다는 것은 인간을 기계로 보는 것과 다름 아니다. (중략) 경험적으로 도덕적인 행위를 할 때에는 항상 감성..

일상 2013.03.08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목적론적 설명은 인간에게 어떻게 적용되는가

Question 1. What does Aristotle understand by ethics?아리스토텔레스가 ‘Ethics’ 라는 말을 통해 표현하는 바는 현대 윤리학, 특히 의무 윤리학의 그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Ethics 는 그리스어 어원을 찾아감으로써 추론해볼 수 있다. ‘Ethics’ 의 그리스어 어원은 ‘ethos’ 로, 이는 사회의 관습, 삶에 대한 관점을 포함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Ethics 는 “어떤 사람이 사회 속에서 존경 받는가?” 그리고 “어떤 행동들이 존경 받거나 또는 경멸 받는가? 와 같은 질문들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 존재, 그리고 인간으로써 번창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론까지 제시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중요한 질문은 ..

일상 2013.03.08

[윤리학] “기초주의”, “해석학” 덕윤리와의 관계? 도덕 규범의 토대. 상대주의와 덕윤리

Question 8. “foundationalism” 과 “hermeneutics” 를 설명하라. 덕윤리와 이들 개념의 관계는? 도덕 규범의 토대를 찾는 것은 중요한 것일까? 또한 그것이 가능할까?의무 윤리학과 덕 윤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절대적인 ‘도덕률’ 의 존재 여부를 인정하는 것과 인정하지 않는 것에 있는 것 같다. 의무 윤리학자들은 절대적인 도덕률의 존재를 인정한다. 여기서 ‘절대적’ 이라는 말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의미이며, 독립적으로 존재하기에 개개인의 주관, 혹은 여러 사회에 따른 차이가 없다. 사회나 개인에 따른 차이가 없기에, 의무 윤리학자들의 도덕률은 보편적이다. 반면 덕 윤리에서는 절대적 도덕률을 인정하지 않는다. 덕 윤리학자들에게 도덕, 윤리는 ‘우리 안에’ 존재한다. 다시..

일상 2013.03.08

[리뷰/영화] machine gun preacher머신건 프리처(2011) - 실화의 힘

머신건 프리처 Machinegun Preacher, 2011액션, 드라마 미국 23분 2013.01.10 재개봉, 2012.05.24 개봉 마크 포스터 감독 제라드 버틀러(샘 칠더스), 미쉘 모나한(린) 주연 [국내] 15세 관람가 [해외] R 줄거리그 남자의 뜨거운 전쟁이 시작된다!불법과 마약 등 엉망인 삶을 살았던 샘 칠더스 (제라드 버틀러)는 우발적인 살인을 하게 되고 반성과 함께 가족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그러나 다행스럽게 상대가 살아있는걸 알게 된 그는 목회자의 길을 걷게 되는데... 그러던 어느 날 수단의 집 짓기 봉사에 참여한 그는 그 곳에서 아이들이 팔려가거나 총을 들고 군인이 되어 총알받이가 되거나 혹은 제거의 대상이 되는 상황을 보고 고심하게 된다. 이런 죽어가는 아이들 앞에 그는 목..

영화, MKT 2013.03.02

광고의 아버지, 데이비드 오길비David Ogilvy 의 일생, 생애 - 위키피디아 번역

참고- 한글 위키보다 영문 위키에 정보가 훨씬 많네요.내용 이해될 정도로만 쭉 읽으면서 번역한거라서 오역/의역/생략 충분히 있을 수 있어요.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David_Ogilvy_(businessman)---------------------------------------------------- David Ogilvy Born23 June 1911West Horsley, SurreyDied21 July 1999 (aged 88)Château de Touffou, Bonnes, FranceOccupationAdvertising executive David Mackenzie Ogilvy, CBE, (23 June 1911 – 21 July 1999), was an..

AD 2013.02.06

[AD/thumbs up] Fitvibe - 기발한 인쇄광고 !

간만에 포스팅이네요.요즘 사는게 고되서^^;오랜만인 만큼 끝내주는 인쇄광고 하나 들고 왔습니다! 카피를 꼭 읽어보세요. ' We really know how to make you work out at Fitvibe health and fitness center for maximum results. you'll be working out before you know it. how is this for start?'--> '우리는 fitvibe 헬스장에서 당신을 제대로 운동시켜서 최상의 결과를 끌어내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알기도 전에 운동하고 계실껄요? 이것으로 한번 시작해보는것은 어떤가요?' 카피가 읽기 어렵게 되어있죠? 광고의 카피를 읽기 위해 고개를 좌로 우로 움직이셨나요? 그렇다면 광고의 의도대로..

AD 2013.01.17